〈불가리아 왕후표〉: 흉노에서 불가리아까지
1866년, 러시아 제국의 안드레이 니콜라예비치 포포프(Андре́й Никола́евич Попо́в, Andrey Nikolayevich Popov)는 “러시아 고문서의 재발견(Обзор хронографов русской редакции, Obzor Chronographov russkoi redaktsii)”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 논문을 통해 〈불가리아 왕후표〉(Именник на българските ханове, Imennik na bulgarskite khanove, Name List of the Bulgar Khans)의 존재가 처음 알려지게 되었다. 현존하는 사본은 3가지인데, 두종은 모스크바에, 한종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소장되어있다. 세 사본 모두 러시아어로 작성되었는데, 15세기 또는 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Runciman, 1930: 272-73; Bury, 1898: 546-47)
〈불가리아 왕후표〉는 다뉴브 이남에서 이교도 불가르 부락이 남긴 현존 최고의 연대기 자료이다. 총 13명의 칸에 대한 정보를 담은 이 목록표는 재임기간, 성씨, 즉위년월의 순서로 구성된다. 흥미로운 점은 즉위년월이 (불가르)튀르크어로 적혔다는 점이다. 현대 학자들은 대체로 아스파루흐가 다뉴브 강을 넘어 비잔틴 제국령으로 진입한 직후(680년경)부터 〈불가리아 왕후표〉를 작성케 했다고 여긴다. 돌에 새겨진 튀르크어는 아마 그리스 문자로 표기되었을 것이다. 〈왕후표〉는 8세기 중반까지 꾸준히 최신화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아마 9세기 말 또는 10세기 초에 〈왕후표〉는 고대 동슬라브어로 번역되었을 것이고, 현존하는 중세 러시아어 사본 세종은 모두 고대 동슬라브어본을 옮긴 것으로 보인다. (Petkov, 2008: 3; 김원회·채유정·김진실, 2007: 180-81)
Авитохолъ житъ лѣт. ҃т. рѡд ему Дуло. а лѣт ему дилѡмъ твирем. Ирникъ. житъ лѣт. ҃ри. рѡд ему Дуло. а лѣт ему дилом тверимь. Гостунъ наместникь сьï два лѣта. рѡд ему. Ерми. а лѣт ему дохсъ. втиремь. Курт: ҃ѯ лѣт дръжа. рѡд ему Дуло. а лѣт ему шегоръ вечемь. Безмеръ ҃г. лѣт. а рѡд сему Дуло. а лѣт ему шегоръ вемь. сii ҃е кнѧз. дръжаше кнѧженïе обону страну Дунаѧ. лѣтъ. ҃ф.҃еі. остриженами главами. И потѡм пріиде на страну Дунаѧ. Исперих кнѧз тожде и доселѣ. Есперих кнѧз. ҃ѯа лѣт. рѡд Дуло. а лѣт ему верени алем. Тервен. ҃ка. лѣто. рѡд ему Дуло. а лѣт ему текучитем. твирем. ҃ки. лѣт. рѡд ему Дуло. а рѡд ему дваншехтем. Севаръ. ҃еі. лѣт. рѡд ему Дуло. а лѣт ему тохалтом. Кормисошь. ҃зі. лѣт. рѡд ему Вокиль. а лѣт ему шегоръ твиремь. Сïи же княз измѣни рѡд Дулов. рекше Вихтунь. Винех. ҃з. лѣт. а рѡд ему Ѹкиль. а лѣтъ ему имаше Горалемь. Телець. ҃г. лѣта. рѡд Ѹгаинь. а лѣт ему соморъ. алтемь. И сïй иного рад. Ѹморъ. ҃м. днïи. рѡд ему Ѹкиль а ему дилѡм тоутѡм.
아비토홀(Авитохол, Avitohol)은 300년 살았다. 그의 씨족은 둘로(Дуло, Dulo)[였다]. 그는 딜롬(дилом, dilom: 뱀) [해] 트비렘(твирем, tvirem: 9번째) [달]에 권력을 부여 받았다.
이르니크(Ирник, Irnikh)는 150년 살았다. 그의 씨족은 둘로[였다]. 그는 딜롬 [해] 트비렘 [달]에 권력을 부여 받았다.
고스툰(Гостун, Gosrun)은 2년 통치했다. 에르미(Ерми, Ermi)씨. 그는 독스(докс, dokhs: 돼지) [해] 트비렘 [달]에 권력을 부여 받았다.
쿠르트(Курт, Kurt = 쿠브라트)는 60년 동안 통치했다. 둘로 씨. 그는 셰고르(шегор, shegor: 소) [해] 베쳄(вечем, bechem: 3번째) [달]에 권력을 부여 받았다.
베즈메르(Безмер, Bezmer)는 3년. 둘로 씨. 그는 셰고르 [해] 베쳄 [달]에 권력을 부여 받았다.
이상 다섯 군주는 민머리로 515년 동안 다뉴브 강 너머의 왕국을 다스렸다. 이스페리흐(Исперих, Isperich = 아스파루흐: ‘하얀 말’ 또는 ‘하얀 말을 탄 기수’) 군주가 다뉴브 강 이쪽으로 건너온 뒤. 오늘날까지 같은 상태다.
에스페리흐(Есперих, Esperich = 아스파루흐. 바로 위의 이스페리흐와 동일인물) 군주는 61년. 둘로씨. 그는 베레니(верени, vereni: 호랑이) [해] 알렘(алем, alem: 5번째) [달]에 권력을 부여받았다.
테르벨(Тервел, Tervel)은 21년[실제 재위: 701년 ~ 718년]. 둘로씨. 그는 테쿠 치템(теку читем, teku chitem: 양) [해] 트비렘 [달]에 권력을 부여받았다.
… 28년[실제 재위: 718년 ~ 739년. 이 군주의 이름은 아직 밝혀지지 않음]. 둘로씨. 그는 드반쉬(дванш, dvansh: 토끼) [해] 에흐템(ехтем, echtem: 6번째) [달]에 권력을 부여받았다.
세바르(Севар, Sevar)는 15년[실제 재위: 724년 ~ 739년]. 둘로씨. 그의 해는 토흐(тох, toch: 암탉) [해] 알톰(алтом, altom: 6번째) [달]에 권력을 부여받았다.
코르미소시(Кормисош, Kormisosh)는 17년[실제 재위: 739년 ~ 756년]. 보킬(Вокил, Vokil)씨. 그는 셰고르 [해] 트비렘 [월]에 권력을 부여받았다. 이 군주를 기점으로 비흐툰(Вихтун, Vichtun)이라 불리는 둘로씨가 바뀌었다.
비네흐(Винех, Vinech)는 7년[실제 재위: 756년 ~ 761년]. 우킬(Укил, Ukil)씨. 그는 셰고르 [해] 알렘 [월]에 권력을 부여받았다.
텔레츠(Телец, Telech)는 3년[실제 재위: 761년 ~ 764년]. 우가인(Угаин, Ugain)씨. 그는 소모르(сомор, Somor: 쥐) [해] 알템(алтем, altem: 첫번째) [달]에 권력을 부여받았다. 그 또한 또다른 씨족이다.
우모르(Умор, Umor)는 40일[우모르는 766년 8월과 9월 사이의 40일간 재위한 뒤 텔레리크(Телериг, Telerig)에게 찬탈당했다]. 우킬씨. 그는 딜롬 [해] 투톰(тутом, Tutom: 4번째) [달]에 권력을 부여받았다. (이상, 원문은 위키백과 불가리아어판. 번역문은 Petkov, 2008: 4-5의 영역본을 다시 한국어로 옮겼다)
이 목록은 불가리아 제국이 훈 제국 계승을 주장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 목록표를 오멜랸 프리차크(Omeljan Pritsak)가 상세히 분석했는데, 그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이를 살펴보도록 하자. 우선 목록의 아비토홀과 이르나흐가 각각 아틸라와 그의 아들 에르나크에 해당한다는 점은 대부분의 학자들이 인정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아틸라가 죽은 뒤 3남 에르나흐(Ernach)가 지금의 우크라이나 남부로 물러나 쿠트리구르 연맹(Kutriğurs), 우티구르 연맹(Utiğurs), 온오구르 연맹(Onoğurs) 등 옛 훈 제국 소속의 정치체들을 다시 모아 나름의 제국을 재건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로마 황제 지논(474년 ~ 491년) 시대인 480년경에 오스트로고트 연맹과 전쟁을 벌인 불가르 집단의 근원으로 보인다. (Nikolov, 2000: 337; Sophoulis, 2012: 81)
프리차크의 논의는 여기에서 멈추지 않았다. 그에 따르면 목록표에서는 불가리아 제국이 흉노 정체성도 지니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목록표의 둘로씨는 곧 흉노의 지배왕가를 배출한 도각(屠各)과 같은 말이다. 우선 도각은 무엇인가? 《진서》(晉書) 권97 〈북적흉노전〉(北狄匈奴傳)에 다음과 같은 기술이 있다. “북적(北狄)은 부락을 단위로 무리를 짓는다. 변경 지역에 들어와 거주한 자들 중에 도각종(屠各種) … 등 19종이 있다. 모두 부락을 이루고 있고 서로 섞여 살지 않는다. 도각이 가장 세력이 강하고 신분이 높아 선우(單于)가 되어 여러 종족을 통령하였다.”(北狄以部落爲類, 其入居塞者有屠各種…凡十九種. 屠各最豪貴, 故得爲單于, 統領諸種) 연구에 따르면 선우를 배출했던 연제씨가 도각종에 소속되어 있었다 [《진서》권63 〈이구전〉(李矩傳)에서 후일 오호십육국 시대를 열어젖히며 전조(前趙)를 세우는 유연(劉淵)에 대해 “유원해(劉元海)는 도각(屠各)의 작은 우두머리”(劉元海屠各小丑)라고 적었다]. 프리차크는 이 도각(屠各)이 조기중고한어에서는 d’uo’klo로 읽혔을 것이라며, dulo와 같다고 보았다. 뿐만 아니라 흉노의 묵특(冒頓)의 조기중고한어 음을 bəktun/biktun로 재구하여, 이를 곧 목록표의 비흐툰과 동일한 것으로 보았다. (Kim, 2013: 59. 도각종에 대한 설명은 沢田勲, 2007: 137-40 참고)
프리차크에 따르면 8세기 말의 불가리아 군주들은 여전히 흉노와 훈의 기억을 지니고, 자신들이 그 후예라고 여기면서 이를 정체성의 기반으로 삼았다. 그러나, 이것을 입증할 수 있는가? 피터 골든은 현 시점에서 남아있는 자료에 기반해서 이를 입증하기 힘들다고 보았다. 즉, 8세기 말의 불가리아 군주들이 아틸라와 에르나흐의 후예를 자처하는 등 훈 제국 계승성을 인식했음은 확실하다. 하지만 이것이 곧 아틸라와 에르나흐의 후예가 불가리아에서 이어지고 있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흉노와 도각 그리고 묵특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Golden, 2012: n. 37; 참고로 도각이라는 집단은 서돌궐의 온오구르 연맹체에서도 발견된다. 사실 골든은 둘로를 서돌궐 온오크의 좌익 다섯 돌육 부락(五咄六部落)의 돌육(咄六: 중고한어 tuo ljuk, 조기중고한어 tɔluwk, 만기중고한어 tuə liwk ← 튀르크어 *Tölük?)과 같은 말로 보고, 쿠브라트가 휘하 부족 연맹을 다스리기 위해 파견된 아사나 가문(阿史那氏)의 왕자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즉, 이 가설에 따르면 아사나 가문의 왕자가 아틸라의 후예를 자칭한 것이다. Golden, 1990: 261]
참고문헌
《진서》(晉書)
- 권63 〈이구전〉(李矩傳): https://zh.wikisource.org/wiki/%E6%99%89%E6%9B%B8/%E5%8D%B7063#%E6%9D%8E%E7%9F%A9
- 권97 〈북적흉노전〉(北狄匈奴傳): http://contents.nahf.or.kr/id/NAHF.jo.k_0005_0097_0120_0040
김원회·채유정·김진실 (2007). “슬라브 기록문학의 시작: 고대불가리아에서 문자문화로의 이행과정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제21집: 175-98.
沢田勲 시와다 이사오 (2007). 《흉노: 지금은 사라진 고대 유목국가 이야기》. 김숙경 옮김. 아이필드.
Bury, J. B. (1898). “Appendix,” in Edward Gibbon, The History of the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Methuen & Co.: 515-60.
Golden, Peter B. (1990) “The peoples of the south Russian steppes,” in Denis Sinor, ed., The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6-84.
Golden, Peter B. (2012). “Oq and Oğur~Oğuz.” Turkic Languages, 16: 155-99.
Kim, Hyun Jin (2013). The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ikolov, Stephan (2000). “The Pagan Bulgars and Byzantine Christianity in the Eighth and Ninth Centuries.” Journal of Historical Sociology, Vol. 13 No. 3: 325-64.
Sophoulis, Panos (2012). Byzantium and Bulgaria, 775–831. Brill.
Petkov, Kiril (2008). The Voices of Medieval Bulgaria, Seventh-Fifteenth Century: The Records of a Bygone Culture. Brill.
Runciman, Steven (1930).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G. Bell & Sons.
도 14세기 제작된 《삽화연대기》(Chronicon Pictum)에 묘사된 아틸라와 교황 레오 1세의 만남.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Chronicon_Pictum_P016_Attila_%C3%A9s_Le%C3%B3_p%C3%A1pa.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