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사3

리처드 폰 글란, 《케임브리지 중국경제사》 리처드 폰 글란 (2019). 《케임브리지 중국경제사》. 소와당. von Glahn, Richard (2016). The Economic History of China: From Antiquity to the Nine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한국 웹상에서 필요 이상으로 많이 비난받는 대상은 캘리포니아 학파와 일본 역사학계가 있다. 캘리포니아 학파의 의의는 서양 우월주의에 대한 반대가 아니다. 그들이 남기고 있는 족적은 “자료에 대한 정밀하고 꼼꼼한 천착, 유럽과 아시아를 비롯한 여러 지역의 경제 제도와 실물 경제에 대한 탄탄한 비교 연구”이다(본문 31쪽). 한국 웹상에서 캘리포니아 학파가 실제 이상으로 비난받는 이유는 피상적으로 캘리포니아 학파를 이.. 2019. 8. 12.
1527년 경 오스만 제국의 지방 구성과 세입 - 1526년 기준 1 (베네치아) 두카트는 57 악체였다 (Pamuk, 2000: 64). 따라서, 이 시기 오스만 제국의 세입은 약 9,435,263 두카트이다. - 1600년 기준, 유럽 국가의 예산은 아래와 같다. 에스파냐: 약 9,000,000 두카트 프랑스: 약 5,000,000 두카트 베네치아: 약 3,900,000 두카트 - 비잔티움 제국의 경우, 중세 초기 세입은 700 ~ 800만 두카트, 14세기 초 100만 두카트 가량이었다. - 이 자료를 보면 발칸 반도가 오스만 제국에 얼마나 중요했는지 알 수 있다. 전체 세입의 36% 가량이 발칸 반도에서 나왔다.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약했던 이집트를 제외하면 49% 가량의 세입이 발칸 반도에서 나왔다. 비록 시기적으로 차이가 나나, 오스만 제국.. 2019. 4. 19.
16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지역별 세입 1527~28년 오스만 제국의 지역별 세입 (단위: 백만 악체) 지역 황제의 개인영지 기타 개인영지와 티마르 종교기금과 자유토지 계 루멜리 (발칸 반도) 94.74 92.53 10.88 119.15 아나돌루, 카라만, 둘카드르 (소아시아) 34.01 73.52 22.08 129.61 디야르바크르 (소아시아 동부) 7.16 14.29 1.31 22.76 알레포와 다마스쿠스 24.73 19.83 7.28 51.84 이집트 116.53 18.92 135.45 계 537.81 (Barkan, 1953-54: 227; İnalcık, 1994: 82에서 재인용) 당시 오스만 제국에서 발칸 반도가 얼마나 중요했는지 알려주는 자료이다. 전체 세입의 36% 가량이 발칸 반도에서 나왔다.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약했던 이집.. 2019.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