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잔티움 제국3 『비잔티움의 역사』 그리스어 표기 디오니시오스 스타타코풀로스 선생의 『비잔티움의 역사』 번역을 준비하면서 한 모험(?) 가운데 하나는 현대 그리스어를 기준으로 한 그리스어 표기였다. (한국어판) 「일러두기」에 밝혔듯, 『비잔티움의 역사』에서 로마-비잔티움 제국의 고유명사는 이라클리오스 1세의 재위(610-41년)을 기준으로 그 전은 라틴어로, 그 이후는 그리스어를 기준으로 표기되었다. 이 점은 종래 나온 비잔티움 관련 서적들과 같지만, 『비잔티움의 역사』는 비잔티움 제국의 그리스어를 고대 그리스어가 아닌 현대 그리스어의 발음에 따라 표기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그리스어의 한국어/한글 표기는 의 그리스어 외래어-한글 변환 프로그램을 약간 변형한 것이다 (예를 들어, ‘Ἰωάννης’는 에서 ‘이오아니스’이지만, 『비잔티움의 .. 2022. 11. 20. ‘비잔티움’의 의미 변화: 동로마에서 그리스 제국으로 “비잔티움 제국을 부르는 방식”에서도 적었지만, ‘비잔티움/비잔틴 (이하 ‘비잔티움’으로 통일)’이라는 표현은 16세기 히에로니무스 볼프(Hieronymus Wolf, 1516-80년)가 처음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 즉, 오늘날 사람들이 ‘비잔티움 제국’이라고 부르고 있는 나라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살아가는 나라를 ‘비잔티움 제국’으로 부르지도 않았고, ‘비잔티움인’을 자칭하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현대 역사학적 용어인 ‘비잔티움’이 역사적으로 정확하지 않다는 기본적인 맥락에는 동의하되, ‘비잔티움’이라는 표현이 사용된 역사에 대한 시각은 점차 달라지고 있는 듯 하다. 먼저 ‘비잔티움’이라는 이름이 ‘동로마 제국’을 가리키는 명사로 사용되어 온 역사는 히에로니무스 볼프보다 훨씬 오래되.. 2022. 10. 25. 비잔티움 제국을 부르는 방식 비잔티움 제국을 뭐라고 부를 것이냐는 복잡한 문제인 것 같다. ⟪비잔티움의 역사⟫에서도 저자 디오니시오스 스타타코풀로스 선생은 책을 시작하면서 ‘비잔티움/비잔틴 제국’이라는 명칭이 가진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럼에도 쓸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밝히고 있다. ‘비잔티움/비잔틴 제국’이라는 이름은 이미 많은 학자가 지적했듯, 현대 역사학적 용어로써 ‘비잔티움/비잔틴’이 멸칭의 의미를 얼마간 지니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콘스탄디노스 4세의 칙령에서 확인할 수 있듯, ‘비잔티움/비잔틴’이라는 용어가 역사적으로 전혀 사용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한국에서는 여기에 더해 ‘비잔틴(Byzantine)’이 ‘비잔티움(Byzantium)’의 형용사형이기 때문에 ‘비잔틴 제국’이라는 이름도 써서는 안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2022. 10.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