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술탄 후세인 바이카라2

티무르 르네상스 ‘르네상스’(Renaissance)란 문화적으로 과거를 창조적으로 재발견하고 적극 활용하는 문화 부흥 운동을 의미한다. 15세기와 16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한 르네상스가 가장 유명하다. 그러나 유일한 것은 아닌데, 일부 학자는 중동, 특히 페르시아 세계에서도 르네상스가 존재했음을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페르시아 세계에서는 르네상스가 두 차례 존재했는데, 바로 부야조 르네상스와 티무르조 르네상스가 그것이다. 나는 이 글을 전에 미르 알리 시르 나바이에 대해 적으며 언급한 티무르조 르네상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적었지만, 배경지식을 위해 부야조의 르네상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 뒤에 티무르조 르네상스를 다루겠다. (Darling, 2006: 55-56) 부야조[Būyids. 페르시아어로는 알레 부야(Āl-e .. 2019. 12. 30.
알리 시르 나바이와 티무르조 르네상스 15세기 중반 이슬람 세계 동부에서 가장 눈에 띄는 궁정은 티무르조의 군주, 술탄 후세인 이븐 만수르 이븐 바이카라(Sulṭān Ḥusayn b. Manṣūr b. Bāyqarā), 일명 후세인 바이카라의 것이었다. 술탄 후세인 바이카라는 1469년부터 1506년까지 헤라트를 통치했는데, 이 시기 헤라트의 영화는 당대 사료에서 여러차례 강조된다. 다울라트샤 사마르칸디[Dawlatshāh Samarqandī, 《타드키라트 알슈아라》(Tadhkirat al-shuʿarā: 시인들의 전기)의 저자. 이 책은 150여 시인의 시와 삶을 다룬다]는 후세인 바이카라 재위를 예술가에 대한 후원과 예술의 발전으로 특징지었다. 후세인 바이카라가 죽은 직후에 헤라트를 방문한 바부르(Bābur)는 술탄 후세인 바이카라의 시.. 2019.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