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4세1 모스크바국가 포메스티예체제 성립에 미친 몽골제국와 오스만국가의 영향 Ⅲ. 포메스티예의 확산과 정착 베르나츠키와 오스트로우스키의 주장이 가지는 문제점은 몽골제국기 이크타-소유르갈(soyūrġāl)에는 포메스티예체제에서 보이는 엄격한 규정이 보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포메스티예를 받은 봉직자는 국가가 소집하는 때 규정된 장비를 갖추고 정해진 장소에서 등록하고 해당 전투에 참여해야 했다. 만약 봉직자가 등록하지 않거나 전투에서 지휘관의 명령을 어기는 경우 포메스티예는 회수될 수 있었다. 또한 포메스티예는 원칙적으로 상속되지 않았고, 봉직자의 아들이 대를 이어 봉직을 수행하는 경우 아버지의 포메스티예 전체가 아니라 신참에게 할당되도록 규정된 만큼의 토지를 받을 수 있었다.²⁵ 군주가 통제하는 공간이자 구체적인 봉직의 대가로 지급되는 생계수단인 포메스티예의 모습은 오스만제국의 티마르와 유사하다. 티마르는 특정.. 2022. 9.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