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잔틴제국2

오스만 제국의 로마 계승성 관련 연구들 Fodor, Pál (2015). “Byzantine Legacies in Ottoman Identity.” in Barbara Kellner-Heinkele and Simone-Christiane Raschmann (eds.). Opuscula György Hazai Dicata: Beiträge zum Deutsch-Ungarischen Workshop aus Anlass des 80. Geburtstages von György Hazai. Klaus Schwarz Verlag: 93-108. 오스만 제국의 로마 계승성에 대한 연구사와 현재의 중론에 대해 정리한 에세이다. 연구사적 부분에서는, 오스만 제국의 로마 계승성에 대한 연구가 역사가 깊으며, 최근에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음을 보였다. 현재 .. 2019. 5. 12.
팔레올로고스 시대 비잔틴 귀족 복식 - 12세기 말이 지난 뒤 비잔틴의 일상 복식은 중앙유라시아 유목민의 것을 그대로 받아들였다. 학자들은 대체로 이를 1204년의 사건 이후 니케아 궁정이 소아시아에 위치하며 튀르크인의 영향을 짙게 받은 결과로 해석했다. (Parani, 2003: 59) - 과거의 복식은 공식 의례에서만 입었던 것으로 보인다. (Kubiski, 2001: 174) - 위 도판에서 요안니스 8세가 쓴 모자는 스키아디온skiadion(그: σκιάδ〈ε〉ιος)이다. 스키아디온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그림자Skia(그: σκιά)에서 나왔는데, 챙을 접거나 펴서 햇빛을 가릴 수 있기 때문이었다. (Ševčenko, 1991b: 1910) 덧붙여, 모자의 챙은 앞부분과 뒷부분이 나누어져 따로 움직일 수 있었다. 도판에서도 보이듯.. 2019.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