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라시아 육상제국3

이주엽, 《몽골제국의 후예들》 이주엽 (2020). 《몽골제국의 후예들: 티무르제국부터 러시아까지, 몽골제국 이후의 중앙유라시아사》. 책과함께. 책의 저자 이주엽 선생님은 한국어로 된 저술 활동을 거의 하지 않기에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영미권 중앙유라시아 학계에서 높이 평가받는 학자이시다. 전에 소개한 Qazaqlïq, or Ambitious Brigandage, and the Formation of the Qazaqs: State and Identity in Post-Mongol Central Eurasia가 브릴 출판사를 통해 발간된 점, 이슬람학 연구의 교과서라 할 수 있는 Encyclopedia of Islam, THREE의 필진으로 참여한 점 정도만 꼽아보아도 이주엽이라는 학자의 학문적 성과가 국제 학계에서 얼마나 인정.. 2020. 6. 22.
Dale, The Muslim Empires of the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Dale, Stephen F. (2009). The Muslim Empires of the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7 pages. 비교사 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개념화conceptualization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더글라스 스트라이샌드의 책, 《화약 시대 이슬람 세계의 제국들》은 마셜 호지슨의 ‘화약 제국’ 이론에 많은 부분을 기대고 있었다. 반면 스티븐 데일의 The Muslim Empires of the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은 호지슨의 이론에 반박과 함께 시작한다. 데일에 따르면, 화약은 오스만 제국에게 있어 중요한 무기였지만, 사파비 제국이나 무굴 제국에서는 .. 2019. 5. 18.
Streusand, Islamic Gunpowder Empires Streusand, Douglas E. (2011). Islamic Gunpowder Empires: Ottomans, Safavids, and Mughals. Westview Press. 400 pages. 마셜 호지슨의 저서, Venture of Islam은 이슬람사 연구의 지평을 바꾸었다. 그러나 초기 근대의 오스만 제국, 무굴 제국 그리고 사파비 제국에 대해 다룬 마지막 3권의 경우, 호지슨의 때이른 죽음(1968년)으로 인해 그 완성도가 떨어졌다 (그럼에도 세계사 연구에 큰 흔적을 남겼는데, 이에 대해서는 전에 쓴 “초기 근대 제국으로서의 오스만 국가 Ⅰ 서론” 참고). 스트라이샌드는 Islamic Gunpowder Empires을 통해 호지슨의 초기 근대 이슬람사에 대한 방대한 스케치를 완성하.. 2019.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