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1

초기 근대 제국으로서의 오스만 국가 Ⅲ 중앙집권적 통치 Ⅲ. 중앙집권적 통치 합성국가 내부에는 수많은 집단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했기 때문에 강력한 통합 기제가 필요했다. 오스만 제국에서 이와 같은 역할을 한 것은 카눈kānūn과 티마르timar 제도였다. 오스만 제국내 법규의 기본이 되는 것은 샤리아이다. 샤리아가 이슬람 법이라 불리기에 마치 분명히 정리되어 고정된 법인 것 같이 오해될 소지가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샤리아는 국가 권력이 만든 법이 아니라 율법학자들의 노력이 민간에서 축적되어 만들어진 법이기 때문에, 범위와 규정, 책임소재가 명확한 성문법과는 거리가 있었고, 국가의 운용에 있어 샤리아를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했다. 따라서 이슬람 국가들에서는 샤리아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실정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오스만 제국에서 이와 같은 .. 2019. 4. 4.
초기 근대 제국으로서의 오스만 국가 Ⅱ 합성국가와 민족의 초월 Ⅱ. 합성국가와 민족의 초월 1400년부터 1800년의 기간에 세계 각지에서 초기 근대 국가들이 성립하기 시작했다.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몽골제국의 흥기, 약 2세기 동안 지속되는 소빙하기의 시작, 흑사병으로 대표되는 세계적인 질병의 출연 등으로 인해 중세의 국가들은 쇠락하였다. 이로 인해 1400년의 세계는 분열과 축소의 시기라 할 수 있다. 당시 존재했던 국가들은 영토 기반의 거대 국가가 아니라 정치, 종교적 위계질서를 갖춘 중소 규모 국가였고, 대개의 사람들도 자신이 어떤 국가의 신민보다는 봉건 군주 아래에 있다고 인식했다. (Goldstone, 2015: 447-49) 그러나 15세기 들어, 기후 하강이 반전됨에 따라 상황이 달라졌다. 세계 각지에는 합성국가composite state들이 출연.. 2019. 4. 4.
초기 근대 제국으로서의 오스만 국가 Ⅰ 서론 Ⅰ. 서론 초기 근대Early Modern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1500년대 초 중반의 기간 동안 전세계 각지에는 초지역적 국가들이 출연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잉카와 아즈텍 제국은 전성기를 보내고 있었다. 유럽에서, 튜더조 잉글랜드, 발루아조 프랑스, 에스파냐와 독일 중부에서는 합스부르크 제국이 태동했다.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는 오스만조가 로마제국 이래 최대 영토를 확보했고, 러시아에서는 이반 뇌제를 필두로 몽골의 멍에를 벗어 던지고 제국이 건설되고 있었다. 페르시아에서는 사파비조가 새로운 페르시아 제국을 건설하고 있었고, 티무르무굴조는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장악해나가고 있었다. 중국은 명조 아래에 번성하고 있었고, 일본은 도쿠가와 막부가 성립하였다. 동남아의 시암, 버마, 베트남에서도 제국들이 성.. 2019. 4. 4.
티무르 제국의 역사 티무르 시대 서기 1370년부터 1405년까지의 기간입니다. 1370년은 바를라스 부 출신인 티무르가 차가타이 울루스의 권좌에 오른 시점입니다. 1405년은 티무르가 중국 원정을 위해 동진하던 와중에 죽은 시점입니다. 이 기간에 티무르는 전쟁을 통해 페르가나, 이란, 이라크, 아제르바이잔 등지를 정복하고, 이집트, 소아시아, 킵착크 초원 등지에서 상위 군주로 인정 받으면서 정권을 확립했습니다. 이를 통해 티무르의 지배지는 과거 몽골 제국의 서방 3왕가(주치 울루스, 훌레구 울루스, 차가타이 울루스)의 영역을 넘어 서쪽으로는 이집트, 소아시아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계속되는 원정을 이용해 티무르는 측근 세력을 키웠고, 과거 차가타이 울루스에서 문제가 되었던 부족 세력들은 티무르 이후로는 큰 권력.. 2019. 4. 3.
16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지역별 세입 1527~28년 오스만 제국의 지역별 세입 (단위: 백만 악체) 지역 황제의 개인영지 기타 개인영지와 티마르 종교기금과 자유토지 계 루멜리 (발칸 반도) 94.74 92.53 10.88 119.15 아나돌루, 카라만, 둘카드르 (소아시아) 34.01 73.52 22.08 129.61 디야르바크르 (소아시아 동부) 7.16 14.29 1.31 22.76 알레포와 다마스쿠스 24.73 19.83 7.28 51.84 이집트 116.53 18.92 135.45 계 537.81 (Barkan, 1953-54: 227; İnalcık, 1994: 82에서 재인용) 당시 오스만 제국에서 발칸 반도가 얼마나 중요했는지 알려주는 자료이다. 전체 세입의 36% 가량이 발칸 반도에서 나왔다.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약했던 이집.. 2019. 4. 3.